칼 포퍼는 ‘열린사회와 그 적들(1)’에서 이렇게 설파한 적이 있다. “제도를 개선하려면 문제는 항상 제도들(institutions)에 관계되는 문제라기보다는 사람들(persons)에 관계되는 문제이다.”(칼 포퍼, “열린사회와 그 적들(1)”, 민음사, p,213.) 글을 읽었을 때, 왠지 모를 적극적 지지의 마음을 포퍼에게 보냈다. 섬기는 교회에서 매년 1월이 되면 대외 섬김 사역의 일환으로 물질적인 곤란함 때문에 생리대를 구입하지 못하는 제천 시 관내에 있는 소녀들을 위한 지원 사역을 한다. 이 사역은 세인 교회의 정기적인 사역으로 자리 잡았다. 매년 이 사역을 행하면서 드는 소회가 있다. 국가라는 제도가 그 국가를 지탱해주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대체 무엇을 해 주고 있는가를 반사해 보는 감정이다. 그 때마다 대단히 유감스럽고 아쉽고 또 때론 분노가 치민다. 국가는 왜 사람들에게 관심이 없는 걸까? 국가가 목을 걸고 있는 제도는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국회의 문턱도 넘지 못하고 계류라는 기막힌 상흔만을 당한 서민들을 위한 의안(議案)들이 대부분 평범한 사람에 관한 법률 개정 항목이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법무부와 검찰 간의 자리 싸움을 하는 파워 게임이 톱뉴스를 차지하고 있는 뉴스를 보아야 하는 대한민국 시민 이강덕은 오늘 소녀들의 생리대 지원금을 시청 사회복지과에 전달하고 나오면서 이렇게 되물어본다. 나는 사람들을 위한 목사의 길을 잘 가고 있는가? 갑자기 ‘월든’의 데이빗 소로우가 ‘시민 불복종’에서 했던 말이 번뜩인다. “나는 모는 사람을 공정하게 대할 수 있고, 개인을 한 이웃으로 존경할 수 있는 국가를 상상하는 즐거움을 가져본다.”(헨리 데이빗 소로우, “시민 불복종”, 은행나무, p,68.) 꿈인가? 정녕 꿈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