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양터 이야기

제목[목사님컬럼] 나는 어떤 목사일까?2024-04-17 18:00
작성자 Level 10

6c2942ca26f2ac7e5c6390f998fc7504.png


문화비평가이자 여류 역사학자인 레베카 솔닛은 치마요로 가는 순례의 길을 경험한 뒤이렇게 술회했다.

순례라는 여행은 무언가를 찾아가는 여행이고순례에서 걷는다는 것은 그 무언가를 찾기 위한 노동이다.” (레베카 솔닛, “걷기의 인문학반비, 2017,p,83.)

그녀의 말에 동의한다면 나는 지난 30여 년 동안 숨 가쁜 노동을 해 온 셈이다노동이란 대단히 신성한 행위다그 노동의 질이 좋은가나쁜가의 평가는 어찌 보면 기득권을 차지한 물리적 힘을 갖고 있는 자들의 편견이나 폭력에 지나지 않는다노동은 그 자체로서 신성한 것이며존중받아야 하는 위대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며칠 전코로나 19와 사투를 벌이고 있는 의료진들이 번-아웃이 되어 몸을 축 늘어뜨린 사진을 포털에서 만났다대단히 안쓰러운 그림이었지만난 그 그림을 보다가 갑자기 피에르 폴 루벤스의 작품인 그리스도의 진노로부터 세상을 지키는 성 도미니크와 성 프란체스코라는 성화가 오버랩이 되었다그 포털 사진에서 본 의료인들의 번-아웃 사진은 성스러웠기 때문이다아마도 바이러스라는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낸 대적할 수 없는 괴물의 무차별적인 공격에 속수무책 쓰러져 나가는 인류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막아내려는 그들이 이 땅의 도미니크요 프란체스코로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 한 주간세간의 소리들을 들었다. ‘지친다버겁다빨리 종식되었으면 좋겠다너무 화가 난다’ 등등.

왜 아니겠는가하루도 수없이 멈출 줄 모르는 아우성과 절규함이 소용돌이 쳐 마치 핏빛처럼 변해 내 삶의 여백들을 시퍼렇게 멍들이고 있는데마치 괴기영화에나 나올 법한 을씨년스러운 마스크를 쓴 무리들이 떼 광장으로 몰려다니며 공포를 덧칠하고 있는데.

지난 주 여론에 등장한 종교의 탈을 썼지만 종교라는 이름을 차라리 쓰지나 말지라는 장탄식을 하게 한 교주의 몰골은 추하다 못해 썩은 내가 진동하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서늘했다김기석 목사가 말 한 갈파가 그래서 더 깊게 와 닿았다.

본질을 잃어버린 종교처럼 추한 것은 없다추하기만 하면 그래도 다행이다추할뿐만 아니라 위험하기까지 하다.”(김기석,“흔들리며 걷는 길”, 포이에마, 2014, p,55.)

목사로 산다는 것은 분명 순례하는 삶이다솔닛의 말을 적용한다면 순례를 통해 주군이 무엇을 원하는가를 찾기 위해 상응하는 노동의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말은 맞다목사로 살고 있는 나는 노동의 내용을 이론이나 형이상학적인 메타포의 한 표현으로 비껴가거나 에두르고 싶지 않다도리어 구체적으로 피력하고 싶다이렇게 접근하면 과유불급일까!

그 대가는 너나 할 것 없이 분노가 들끓고 있는 이 시대남은 목양의 시기 동안 그 분노를 막아내는 목사로 사는 것이라고이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목사의 노동이라면 기꺼이 그 대가를 지불하고 싶다.

지난 주간프리랜서 김아리 기자가 쓴 올 어바웃 해피니스’(all about happiness)와 여행했다대한민국을 대표하는 11명의 정신과 전문의심리학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행복 찾기라는 테마를 정리한 책인데 엮은이가 에필로그에서 밝힌 엔딩 멘트가 인상적이었다.

세상에는 수많은 관계가 있다그 관계 중에 가장 중요한 관계는 무엇일까나 자신과의 관계이다.”(김아리편, “올 어바웃 해피니스”, 김영사, 2019,p,257.)

그녀의 이 말은 한 주간의 삶의 과정에서 아주 진하게 나를 동여맨 아딧줄이었다붙든 아딧줄 때문이었을까나도 모르게 나를 몰아세우는 자의적타의적 분노로부터 나를 다스려야겠다는 신념이 스멀댔다나와의 관계를 잘 맺어야 또 다른 타자와의 관계에서 돌출된 분노를 막는 자가 될 수 있기에 말이다그래서 아브라함 죠수아 헤셀의 말이 크게 공명되었나 보다.

자기 자신에 대하여 전혀 관계하지 않는 자는 죽은 사람이다.” (아브라함 죠수아 헤셀, “사람은 혼자가 아니다.”이현주 역한국기독교연구소, 2019,p,165.)

조금 더 나를 돌아보아야 하겠다치열하게냉정하게분노를 막아내는 사람인 목사가 되기 위해서.